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개발141

http 프로토콜 -1 HTTP 프로토콜 HTTP(HyperText TransferProtocol)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주고 받기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이다.서버/클라이언트모델이란?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와 서비스 요청자(servicerequester)로 구분되는 네트워크 모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은 서버. 서비스 요청자의 역할은 클라이언트라고 한다.원칙대로 라면 프로그램이 서버와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지만 많은경우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하드웨어적으로 역할을 구분하기도 한다.서버/클라이언트모델에서 모든 자원은 서버에 집중된다. 클라이언트는 테이터 프리젠테이션(재현)을 위한 최소한의 자원을 가지는게 일반적이다. 서버는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자원을 공유하고관리해야하기 떄.. 2017. 3. 8.
Jquery Selector 성능에 관한 고찰 1.Append Outside of Loops나쁜 예 $.each(myArray, function(i, item){var newListItem = "" + item + "";$("#list").append(newListItem);});이 경우 ul#list에 하나하나의 엘레먼트를 붙이는 작업이다.배열의 엘레먼트 갯수가 많아아지는 경우 DOM을 조작해야하는 비용적인 측명에서 과소비가 일어나게 된다. 바른 예 var myHtml=""; $.each(myArray, function(i, item){var myHtml += "" + item + ""; });$("#list").html(myHtml); 2.Cache Length During Loops나쁜 예for(var i =0;i 2017. 3. 8.
네티(netty) 내가 공부를 많이 하는건 아니지만 대학교 사람들이랑 모임을 할때 이런저런 많은 얘기나 공부하고 있는 걸 들으면서 내 스스로도 많이 도움이 될때가 많다. 그 중에서 제일 많이 공부하는 형이 이번에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중에 netty라는 걸 사용해서 하는 걸 나에게 설명해줬는데 네트워크를 간단하게 이어주고 관리해줄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볼 수 있다. 얘기를 듣다보니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어렵지 않게 만든 네티 한번 다음에 사용해보는 것도 좋은 것 같다. 다들 공부해보는게 좋을 것 같다. 2017. 3. 6.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위한 계획 친구들이랑 앱 하나를 출시해보기로 했다. 총 4명이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는 기획 및 마케팅을 2명의 친구가 맡고 개발은 나, 디자인은 다른 친구가 해서 4명의 친구들이 프로젝트를 시작해 본다.다만 걱정인것은 내가 앱 개발을 해본 적이 없고 앱 개발시 결제 연동이나 서버 등의 기타 부대 비용과 관련된 것이 얼마나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걱정이 많다. 친구들은 재미로 한다고 하지만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꽤 시간을 잡아먹는 일이기도하고 스트레스도 여간 받는 일이 아니기 때문에 힘들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래도 뭔가 행동하고 진행을 해야 그곳에서 배우는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몇달이 걸릴지는 모르겠지만 진행해서 배우는 것도 굉장히 좋다고 생각한다. 내가 나중에 앱 개발하면서 용돈벌이라도 할지 누가 알겠는가 용돈이.. 2017. 2. 28.
728x90
반응형